JAVA

JAVA

[JAVA] 문자열 비교, equals와 == 연산자의 차이

자바를 사용하면서 두 대상의 값이 '같은지'를 비교할 때 문자열의 경우 A.equals(B)의 형태로 작성하곤 했다. int형을 비교할 때는 == 연산자를 사용하고 문자열 비교에서도 == 연산자를 사용해도 값이 정상적으로 나오기도 하는데, equals와 == 연산자의 차이가 무엇이길래 문자열에서는 구분해 사용하는걸까? equals와 == 연산자의 차이 간단히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 연산자로는 리터럴 타입의 변수와 객체를 비교할 수 없다. 이유는 == 연산자는 대상의 주소를 비교해 판단하기 때문이다. 데이터와 데이터(value)를 비교하는 equals와 == 연산자는 비교 대상에 따라 다른 결과 값을 가지게 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tx..

JAVA

[JAVA] 반복문 - while문, do while문

while문 : 조건 반복 for문에 이어서 또 다른 반복문인 while문을 알아보자. while (조건) {실행문;} // 조건이 true일 때 실행문을 반복해서 실행한다. for문이 조건문에서 몇 번을 반복할지 명확히 제시해 실행문을 그 횟수만큼 반복하는 횟수 반복문이라면, while문은 조건이 true라면 무한으로 반복하는 조건 반복문이라고 할 수 있다. for문처럼 일정 횟수만큼 반복하고 구문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while문 안에 증감문을 넣어주는 방법이 있다. int i=1; while(i i의 값이 홀수일 때 (i%2 != 0) 해당 i를 출력하는 반복문이다. 해당 while문은 i의 값이 10 이하라면 true이므로 무한으로 반복한다. 이 무한 반복을 막기 위해 i++;로 i를 증감해주어 1..

JAVA

[JAVA] 반복문 - for문

반복문이란? 조건문과 더불어 아주아주 중요한 반복문을 알아보자. 반복문이란 기준값이 되는 변수를 선언하고 -> 조건을 설정하고 -> 증감을 입력하면 기준 변수의 값이 조건과 같아질 때 까지 증감하면서 실행문을 반복하는 구문이다. 변수로는 주로 i,j,k,m,n을 많이 사용하며 증감은 +와 -, * / % 까지 증감 연산자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반복문의 종류는 for문과 while문, do while문으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for문부터 살펴보자 ! 반복문 - for문 : 횟수 반복 for( 기준값; 조건; 증감 ) { 실행문 } for(int i=1; i i의 값이 10보다 작거나 같아질 때 까지 => i가 1씩 증가한다는 구문으로 반복문을 만들었다. 해당 구문의 경우 i는 실행문을 실행하면 ++ ..

JAVA

[JAVA] 조건문(논리문) - 삼항 연산자, if문, switch case문

조건(논리)문이란, 코딩을 작성할 때 특정 조건을 추가해서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지/부합하지 않는지를 판단하고 각각의 경우에 어떤 내용을 실행할 지 제어하는 구문이다. 즉 '조건문'과 '실행문'으로 구성된다. 관계(비교)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 관계(비교)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는 조건문에 사용되어 True/False를 구분짓게 하는 연산자들이다. 관계(비교) 연산자 > >= 3 || 10 < 3 (true) 관계(비교) 연산자는 양 쪽의 값이 초과,이상,미만,이하,같거나 다른지 비교를 수행하며 논리 연산자는 두 가지 비교식이 모두 옳은지(&&) 또는 하나라도 옳은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조건문 1. 삼항 연산자 JA..

JAVA

[JAVA] 객체 생성 : new 연산자

JAVA에 코딩을 할 때에 사용자에게 값을 입력받기 위해서 자주 사용하는 구문이 있다. 바로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라는 구문인데, 이번 글에서 설명할 new 연산자가 이용된 구문이다. new 연산자 클래스 객체명 = new 생성자();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new 연산자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을 할당받게끔 하고, 클래스 안에 객체를 생성해 생성자()의 내용을 객체에 저장해주는 역할을 한다.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st A = new test(); // test에 대한 임시 저장 공간을 A라는 이름으로 만들 것이다. System.out.print(A.plus(3,1));..

JAVA

[JAVA] 연산자와 전후위연산

연산자란? 연산자는 사전적 의미로 '프로그램을 짤 때 변수나 값의 연산을 위해 사용되는 부호'를 뜻한다. 우리에게 익숙한 연산자로는 쉽게 일상 생활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덧셈과 뺄셈, 곱셈과 나눗셈을 떠올릴 수 있다. # 산술 연산자 ( + - * / % ) + 덧셈 - 뺄셈 * 곱셈 / 몫 % 나머지 나눗셈 연산자는 / 몫과 % 나머지로 나뉘는데, 목적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몫은 나누어지는 값, 나머지는 나누고 남은 값을 의미한다. ex) 10 / 3 = 3, 10 % 3 = 1 n % 2 == 0일 때 n은 짝수 (2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n % 2 != 0 또는 n % 2 == 1일 때 n은 홀수 (2로 나누면 1이 남는 값이므로) 위의 예시와 같이 변수에 짝수 값 또는 홀수 값을 이용할..

JAVA

[JAVA] 출력문 함수 System.out.println / print / printf

JAVA에서 출력문을 입력해보자 출력문 함수 System.out.print : System에 out 내보내다 print 프린트해서 () 괄호의 내용물을 즉, ()의 내용을 프린트해서 시스템에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함수이다. System.out.print("2"); // 개행을 수행하지 X // " "는 문자임을 나타내는 표식 // 숫자X 문자O System.out.println(1); // 개행을 수행한다. end line System.out.printf("%f",3.0); System.out.printf("%d %d %d", 1, 2, 3); // 개행을 수행하지 X // 서식 지정자 필요 (C언어에서 넘어와 C언어와 동일하게 작성해주어야 한다.) // 때문에 System.out.printf(3)과 같..

JAVA

변수 - 자료형과 변수명

우리가 사용하는 상수는 고정된 값으로, 내가 직접적으로 적는 데이터이자 변하지 않는 값이다. 반대로 우리가 코딩을 하며 사용할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변하는 값을 가진다. int num1 = 1; float num2 = 3.5f; char A = 'A'; String B = "ABC"; 기본적으로 자료형 변수명 = 값;의 형태로 사용하게 되며, 자료형은 숫자: 정수 실수 / 문자: 단일문자 문자열로 구분해 사용한다. 정수 자료형 정수 : integer → int, byte, short, long byte=1byte, short=2byte(65,025), int=4byte(16,581,375), long=8byte 1byte는 8bit(0000 0000 ~ 1111 1111) → 256 → -12..

모캉이
'JAVA'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