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SERVLET

JSP, SERVLET

[JSP, SERVLET] getAttribute과 getParameter, int형 변환하기

예제를 풀다가 만난 새로운 문제 ! 서블릿에 있는 int형 값을 JSP로 전달하고 싶은데, request.getParameter만 열심히 써와서 name이 없는 값은 어떻게 전달해야하나 혼란에 빠졌다😀... 그렇게 찾아보다가 setAttribute와 getAttribute를 이용해 원하는 대로 값 전달에 성공했다🎉 (이후 인스턴스 변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조금 더 간편한 것 같아서 변경했지만u^u...) getParameter와 getAttribute의 차이 가장 큰 차이점은 getParameter("이름")은 설정한 이름과 동일한 name을 가지는 값을 가져오고, getAttribute("이름")는 setAttribute("이름","값")을 통해 해당 이름으로 설정한 값을 가져온다. 또, getParam..

JSP, SERVLET

[JSP, SERVLET] 데이터 베이스 연동해서 로그인 성공 구현하기

https://wintmoca.tistory.com/40 [SERVLET] 서블릿에 데이터 베이스 연동하기(SELECT 구문) 서블릿에 데이터 베이스를 연동해보는 예제이다. 서블릿에서 데이트 베이스로 연동 접근이 가능한 구문은 DML(INSERT,DELETE,UPDATE,SELECT)가 있는데 이 중 SELECT를 이용해 오라클 서버를 서블릿에 연동 wintmoca.tistory.com 서블릿에 데이터 베이스를 연동해 SELECT 구문으로 출력하는 예제를 만들어 보았으니, 이번에는 JSP에서 로그인 창을 만들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했을 때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와 일치하면 로그인 성공 페이지로 이동하는 코드를 구현해보자 😇 데이터 베이스에는 테이블을 만들어 이렇게 필드와 레코드를 넣어 두었다. COMM..

JSP, SERVLET

[SERVLET] 서블릿에 데이터 베이스 연동하기(SELECT 구문)

서블릿에 데이터 베이스를 연동해보는 예제이다. 서블릿에서 데이트 베이스로 연동 접근이 가능한 구문은 DML(INSERT,DELETE,UPDATE,SELECT)가 있는데 이 중 SELECT를 이용해 오라클 서버를 서블릿에 연동시켜서 만들어 둔 테이블을 서블릿에서 호출하는 예제이다🥳 연동을 위해서는 우선 오라클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 접속 테스트 창을 확인해야 한다. 호스트 이름과 포트 번호, SID 값이 연동에 이용되기 때문이다. 테이블이 있는 USER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도 필요하다. 데이터 베이스에서 테이블 생성, 데이터 삽입까지 마쳤으면 서블릿으로 이동해서 연동 시작! ** 데이터 삽입까지 마친 후 COMMIT을 꼭 해주어야 한다! import 구문 확인하기 import java.sql.DriverMa..

JSP, SERVLET

[JSP] 스크립트 태그(Script Tag)란?

이전 포스팅에서 해당 JSP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하는 디렉티브 태그(Directives tag)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wintmoca.tistory.com/38 [JSP] JSP(Java Server Pages) 기초 개념과 특징, JSP 디렉티브 JSP 기초 개념 JSP란? Java Server Pages의 약자로, HTML 안에 JAVA를 구축해서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하게끔 해주는 웹 어플리 케이션 도구이다.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받아서 변화되는 페이지를 구축) wintmoca.tistory.com JSP 기초 개념 JSP란? Java Server Pages의 약자로, HTML 안에 JAVA를 구축해서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하게끔 해주는 웹 어플리 케이션 도구이다. (클라이언트..

JSP, SERVLET

[JSP] JSP(Java Server Pages) 기초 개념과 특징, JSP 디렉티브

JSP 기초 개념 JSP란? Java Server Pages의 약자로, HTML 안에 JAVA를 구축해서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하게끔 해주는 웹 어플리 케이션 도구이다.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받아서 변화되는 페이지를 구축) JAVA안에 HTML을 구축하는 자바 서블릿과 비교할 수 있는데, JSP는 .jsp 확장자를 사용하며 자바 서블릿+추가 기능을 탑재, HTML 작성은 편리하나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과의 연동 구문 작성은 비교적 어렵다는 특징이 있고 자바 서블릿은 .java 확장자를 사용, HTML 작성이 불편해 유지 보수는 어려우나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과의 연동 구문 작성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제 JSP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 JSP의 특징 1. 서블릿과의 속도 차이는 X 2. WAS(We..

JSP, SERVLET

[JSP,SERVLET] JSP에서 보낸 데이터 SERVLET에서 쿠키로 저장하기

https://wintmoca.tistory.com/26 [JSP] 쿠키(Cookie) 기본 개념 쿠키(Cookie)란? 인터넷, 핸드폰을 사용할 때 주기적으로 '쿠키 삭제'를 해주어야 한다고 한다. 바삭바삭 맛있어 보이는 쿠키... 무엇이길래 삭제해야 하는걸까?🍪 쿠키🍪 :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 wintmoca.tistory.com 쿠키 기본 개념에 대해서도 알아봤고, JSP를 통해 전송 저장도 해보았으니 이번에는 JSP → SERVLET → JSP로 한 번 전송과 저장을 해보자! 간단한 로그인 페이지가 있다고 가정하자(매우 간단한...) // JSP : 클라이언트 - 서블릿(서버)로 데이터 전송 ID PASS 먼저 JSP에서 form과 input을 이용해 ID, PASSWORD를 입력하는 로그인 화면..

JSP, SERVLET

[JSP,SERVLET] Select로 선택한 옵션 출력하기

웹 사이트를 이용하다 보면 input을 이용해 값을 적는 것 외에도 여러 보기 중 한 가지를 선택해 제출할 때가 있다. 이 때 이용하는 html 태그는 select와 option인데, JSP와 서블릿에서 이 값을 어떻게 받아와서 이용할 수 있을까? select, option 태그로 선택한 값 JSP와 서블릿에서 이용하기 딸기 바나나 귤 사과 참외 먼저 select와 option을 이용해 항목을 적어주면 이렇게!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폼이 만들어진다. 포인트는 1. select 태그에 name을 지정해 주는 것 2. 각 option마다 보여질 내용과 같은 value를 지정해주는 것 이제 이 값을 이용하기 위해 값을 받을 페이지로 form과 submit을 이용해 전송해준다. protected void do..

JSP, SERVLET

[JSP] 쿠키를 이용해 input value에 입력 값 남기기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검색창에 무언가 입력했을 때, 새로고침을 하거나 다른 페이지에서 뒤로가기로 돌아와도 내가 입력한 내용이 그대로 남아있어 다시 작성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input을 이용해 입력 칸을 만들면 새로고침, 뒤로가기를 할 때마다 작성한 값이 사라진다. 어떻게 남길 수 있을까? (o゚v゚)ノ 쿠키 데이터를 활용해 예제를 작성해보자 🍪 // 1번 페이지 Cookie1 _ 데이터를 입력해 전송할 페이지

모캉이
'JSP, SERVLET' 카테고리의 글 목록